카테고리 없음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igh NA EUV 양산 시대 열다

땡글오빠 2025. 9. 12. 17:43

1. 기술 경쟁의 분기점

반도체 기술은 점점 더 미세한 회로를 구현해야 하고, 그만큼 제조 장비의 정밀도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SK하이닉스가 메모리 업계에서는 처음으로 양산용 High NA(High Numerical Aperture) EUV(Extreme Ultraviolet) 노광 장비를 도입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설비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메모리 반도체의 집적도, 성능, 경쟁력 구조를 바꿀 수 있는 전환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Global 경쟁자들이 고성능·저전력·고집적 제품 요구를 빠르게 키우고 있는 상황에서, SK하이닉스의 이번 선택은 기술 리더십 확보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입니다. 

 

SK Hynix High NA EUV 인포그래픽
SK Hynix High NA EUV 인포그래픽


2. High NA EUV 기술 개요

  • NA (Numerical Aperture, 개구수)의 의미
    NA는 노광 장비가 빛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모아 회로 패턴을 웨이퍼 위에 그릴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NA 값이 클수록 더 정밀한 패턴 구현이 가능하고, 회로의 선폭(線幅)을 줄이거나 집적도를 높이는 데 유리합니다. 
  • 기존 EUV vs High NA EUV
    기존의 EUV 장비들은 NA 0.33급이 대부분이며, 미세 회로를 그리기 위해 여러 번 패턴을 겹치는 멀티 패터닝 방식이 필요했습니다. High NA EUV는 NA 0.55 수준으로 약 40% 향상된 광학 설계로, 동일 면적에서 훨씬 더 조밀한 회로 패턴을 한 번의 노광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이로써 복잡성과 비용을 줄이고 공정 효율성이 올라갑니다. 
  • 주요 사양 및 모델
    SK하이닉스가 도입한 장비는 네덜란드의 ASML이 제작한 ‘트윈스캔 EXE:5200B’입니다. 이 장비는 양산용 High NA EUV 중에서도 최초의 모델 중 하나이며, NA 0.55 광학 사양을 가집니다. 

3. SK하이닉스의 도입 배경과 준비과정

  • M16 팹 소개 및 입지
    SK하이닉스의 이천 M16 팹(Fab)은 D램 등 메모리 반도체 주요 생산시설 중 하나로, 기술 도입과 생산 규모 면에서 핵심 공장입니다. High NA EUV 장비를 이 곳에 반입함으로써 실질적인 양산 기반을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 왜 지금인가
    반도체 시장에서는 AI, 고성능 컴퓨팅, 데이터센터 수요 등으로 메모리 성능 및 집적도에 대한 요구가 매우 빠르게 커지고 있습니다. 기존 기술만으로는 이 수요를 비용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기 어렵고, 기술 격차가 생길 가능성이 큽니다. SK하이닉스는 이러한 시장 흐름에 맞춰 차세대 기술 확보가 시급하다고 판단하고 도입을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 경쟁사 및 글로벌 현황
    삼성전자, 인텔, TSMC 등도 High NA EUV 기술 도입을 준비 중이며, 일부는 파일럿 라인 중심으로 테스트 중입니다. 하지만 본격 양산 라인에 이 장비를 도입한 업체는 SK하이닉스가 현재로선 최초입니다. 

4. 양산 적용 효과 및 기대효과

  • 정밀도 및 집적도 향상
    SK하이닉스 발표에 따르면, 기존 EUV 대비 회로 패턴의 정밀도가 약 1.7배 증가하고, 집적도는 2.9배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는 NA 0.33 → NA 0.55로 광학 성능이 약 40% 향상된 덕분입니다. 
  • 비용 및 생산성 개선 가능성
    회로 패턴 형성 횟수를 줄이거나 멀티패터닝을 대체함으로써 공정 단계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는 시간 절약과 원가 절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더 높은 집적도를 통해 웨이퍼당 생산 가능한 칩 수가 늘어나 실질 수익성 개선이 기대됩니다. 
  • AI / 고성능 컴퓨팅 수요 대응
    AI, 데이터센터,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분야에서는 메모리 대역폭, 응답 속도, 전력 효율 등이 중요합니다. 고성능 메모리를 더 조밀하게 만드는 High NA EUV 기술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AI 메모리 시장에서 리더십을 강화하겠다는 의사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5. 산업 및 시장 영향

  • 한국 반도체 경쟁력 강화
    이번 기술 도입은 한국 반도체 산업이 단순한 제조국을 넘어 기술 개발 및 혁신 리더로서의 위상을 더욱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 생태계 및 공급망 파급
    고성능 노광 장비 및 관련 소재·부품 업체들도 기술 수준을 맞추기 위해 투자와 연구 개발을 확대할 가능성이 크며, 글로벌 ASML 등의 협력사들과의 기술 제휴나 기술 이전 기회도 커질 수 있습니다.
  •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우위 확보
    메모리 시장, 특히 DRAM 분야에서는 삼성, 마이크론 등과의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High NA EUV 양산이 가능해지면 제품 성능·원가 경쟁력에서 우위를 확보할 여지가 커집니다. 또한 국제적으로 메모리 수요 증가 추세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6. 기술적 과제 및 리스크

  • 수율 확보 문제
    고정밀 노광으로 회로를 찍는 공정이 더 정밀해진 만큼, 미세 오차에도 민감합니다. 초기 양산에서의 수율(low yield) 문제는 비용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장비 비용 및 유지비
    High NA EUV 장비 자체가 고가이며(보도에 따르면 대당 수천억 원 규모) 유지보수 및 가동 비용, 특수가스 및 광학부품 등의 유지 관리비가 높습니다. 
  • 공정 안정화 및 기술 숙련
    노광 공정 뿐만 아니라 설계, 포토마스크, 소재, 광학 기술 등 전반적인 인프라와 공정 노하우가 함께 따라야 합니다. 실험실/파일럿 수준을 넘어 양산 수준으로 만드는 데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공급망 및 소재·장비 확보
    High NA EUV 장비 및 부속 부품, 특수가스, 재료 등에 대한 전 세계적 수요가 높고 공급이 제한적입니다. 공급망 병목이나 국제 무역·규제 이슈 등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7. 전망: 앞으로의 방향성과 과제

  • 단계적 양산 확대 및 제품 적용
    초기에는 특정 고성능 D램 제품 또는 AI용 메모리 제품 등에 먼저 적용한 뒤, 점차 범위를 넓혀 일반 제품에도 High NA 공정 적용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기술 개발 및 협력 강화
    ASML 등 장비 업체, 소재·부품 회사들과의 R&D 협력, 정부정책 지원, 인프라 투자가 중요해질 것입니다. 또한 공정 설계 및 설비 노하우 축적이 경쟁력 유지에 관건입니다.
  • 규제 및 정책 환경의 역할
    고가 장비의 반입, 특수가스 사용, 수출입 규제, 기술 이전 규제 등이 기술 상용화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정부 차원의 지원과 제도 정비가 중요합니다.
  • 글로벌 시장 변화 감시
    경쟁사들의 대응(삼성, 인텔, TSMC 등), 기술 흐름, 수요 변화, AI·클라우드 인프라 확장 등이 향후 방향성을 결정짓는 요소가 될 것입니다.

8. 결론

SK하이닉스의 High NA EUV 양산용 장비 도입은 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기술 경쟁 구도를 바꾸는 중대한 전환점입니다. 이번 도입을 통해 기술 리더십, 제품 성능 및 비용 경쟁력에서 강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도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초기 수율 확보, 고비용 리스크, 기술 안정화 등의 과제도 남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한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견인할 수 있는 핵심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9. 3분 정리

  • SK하이닉스가 도입한 장비는 ASML의 ‘TwinScan EXE:5200B’, 양산용 High NA EUV의 상업적 적용의 첫걸음. 
  • 기존 EUV 대비 NA 0.55 → 0.33 수준 광학 성능 약 40% 향상, 정밀도 1.7배, 집적도 2.9배 개선 기대. 
  • AI·고성능 컴퓨팅 수요 대응 및 기술 리더십 확보 가능성이 커짐.
  • 높은 초기 투자비용, 수율 안정화, 부품·소재 및 노하우 확보 등의 과제 존재.
  • 앞으로의 관건은 기술 적용 범위 확대, 정책·생태계 지원, 경쟁사 및 글로벌 트렌드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