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센터 스토리지2 삼성·하이닉스, AI 시대 eSSD 성장세로 글로벌 주도권 강화 AI 확산이 스토리지 지형을 바꾸고 있습니다. eSSD(엔터프라이즈 SSD)는 학습·추론 워크로드의 ‘핫/웜 데이터’를 담당하며 데이터센터 표준으로 자리 잡고, HDD는 ‘콜드 데이터’ 아카이빙에서 버팀목 역할을 이어갑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솔리다임 포함)는 낸드플래시와 eSSD에서 동시에 존재감을 키우며 글로벌 주도권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 2분기 기준 낸드 전체 시장에서 삼성은 32.9%로 1위를 수성했고, SK그룹은 21.1%로 큰 폭의 점유율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AI 서버 확대와 제품 믹스 개선이 주된 배경입니다. 한편 eSSD 시장 자체도 빠르게 커지고 있습니다. 2025년 2분기 엔터프라이즈 SSD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2.7% 증가했는데, 북미 CSP의.. 2025. 9. 24. AI 확산, 스토리지 시장을 뒤흔들다 – HDD와 SSD 부족 가속 AI의 성장세가 GPU 시장을 넘어 스토리지 시장의 판도를 근본적으로 흔들고 있습니다.대규모 언어 모델(LLM), 생성형 AI, 멀티모달 AI의 학습과 추론 과정에서 데이터의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토리지의 중요성은 전례 없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최근 Seagate와 Western Digital은 HDD 가격 인상 계획을 발표했고, SSD 공급망도 압박을 받으며 가격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재 데이터센터의 스토리지 운용 현황, HDD와 SSD의 역할과 한계, 가격 상승 요인, 제조사들의 전략, 그리고 만약 삼성이 HDD 사업을 유지했다면 어떠했을지를 심층 분석합니다. 생활·업무 변화 요약데이터센터 운영자: AI 학습용 데이터셋과 체크포인트 저장 요구가.. 2025. 9.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