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의 차세대 콘솔 ‘스위치 2’가 엔비디아의 DLSS(딥러닝 슈퍼샘플링) 기술을 두 가지 형태로 지원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하나는 PC RTX 그래픽 카드와 동일한 CNN 기반 표준 DLSS, 다른 하나는 저전력 환경을 위한 ‘경량 DLSS(Light)’입니다. 이 변화는 스위치 2가 기존 모바일 칩 한계를 넘어, 가정용 콘솔과 PC 그래픽 기술의 경계를 좁히려는 시도로 해석됩니다.
생활·업무 변화 요약
- 생활: 휴대형 콘솔에서도 고해상도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DLSS Light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선명한 화면을 유지해, 장시간 플레이에서도 품질 저하가 줄어듭니다.
- 업무: 개발사는 저사양 하드웨어에서도 DLSS로 그래픽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리소스 관리와 개발 효율성이 개선됩니다.
쉽게 알아보는 IT 용어
- DLSS (Deep Learning Super Sampling): 엔비디아의 인공지능 업스케일링 기술로,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복원합니다. 이는 GPU 연산 부담을 줄이면서도 선명한 화면을 유지하게 해주는 기술로, RTX 그래픽 카드부터 적용되어 왔습니다.
- 업스케일링(Upscaling): 기존 이미지를 더 높은 해상도로 변환하는 기술로, AI가 원본의 세부 정보를 추정해 ‘실제보다 더 선명한’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마치 저해상도 사진을 확대했을 때 흐릿함 대신 세밀함을 유지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1] 스위치 2의 DLSS 듀얼 구조
스위치 2는 두 가지 DLSS 버전을 병행 지원합니다.
- 표준 DLSS: RTX 그래픽 카드와 동일한 CNN 기반 모델로, 고정밀 업스케일링과 노이즈 제거를 담당합니다.
- DLSS Light: 1080p 이상 해상도 업스케일링에 특화된 경량화 버전으로, 저전력 모바일 환경에서도 동작합니다.
이 설계는 도킹 모드에서는 고화질을, 휴대 모드에서는 전력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조정되어 있습니다.
[2] RTX 그래픽 카드와의 같은점·다른점
같은점:
- AI 학습 기반의 업스케일링 원리를 공유하며, Tensor Core 연산을 활용해 이미지를 재구성합니다.
- 프레임 보간 및 노이즈 제거 알고리즘도 기본 구조는 동일합니다.
다른점:
- RTX 시리즈는 실시간 연산용 Tensor Core를 탑재한 고성능 GPU이며, 학습·추론 모두를 처리합니다.
- 반면 스위치 2는 사전 학습된 DLSS 모델을 경량화해 내장형 Tegra SoC에서 추론만 수행합니다.
- 즉, RTX는 ‘AI가 직접 생각하는 두뇌’, 스위치 2는 ‘학습된 모델을 실행하는 조력자’에 가깝습니다.
[3] 스위치 2의 예상 성능 비교
스위치 2는 엔비디아 Tegra T239 칩셋 기반으로, GPU 성능은 RTX 2050~2060 모바일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 DLSS Light 적용 시 4K 출력이 가능하나, 내부 렌더링 해상도는 약 1080p 수준입니다.
- 전력 효율성은 전작 대비 20~30%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열 제어와 배터리 수명에서도 향상이 기대됩니다.
[4] 다른 콘솔과의 비교
구분 | 그래픽 기술 | 출력 해상도 | 전력 효율 | 특징 |
Switch 2 | DLSS (표준+Light) | 최대 4K (업스케일링) | 매우 높음 | 저전력 AI 기반 업스케일링 |
PlayStation 5 | AMD FSR 2 | 네이티브 4K | 보통 | 렌더링 품질은 우수, AI는 아님 |
Xbox Series X | AMD FSR 2 | 네이티브 4K | 보통 | 고정 출력 위주 |
RTX 4070 (PC) | DLSS 3 | 네이티브 4K+프레임 생성 | 낮음 | 최고 성능, 고전력 |
콘솔 중에서는 스위치 2만이 AI 업스케일링을 기본 구조에 통합하고 있으며, 성능 대비 효율성이 가장 뛰어납니다.
[5] 그래픽 카드와의 직접 비교
RTX 그래픽 카드는 실시간 학습이 가능한 고성능 하드웨어를 갖추고 있지만, 스위치 2는 이를 ‘경량화된 추론 전용 구조’로 대체했습니다.
이는 “AI 학습 결과를 이식한 하이브리드 GPU” 개념에 가깝습니다.
- RTX는 고성능과 품질 중심,
- 스위치 2는 휴대성과 효율 중심으로 구분됩니다.
이 차이는 PC와 콘솔의 **‘AI 그래픽 접근 방식의 분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됩니다.
Mini Q&A
Q1. DLSS Light 품질은 표준 DLSS보다 떨어지나요?
A. 일부 디테일이 줄어들 수 있으나, 체감 화질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Q2. DLSS 작동에 인터넷이 필요한가요?
A. 아닙니다. 학습된 모델이 기기 내에 내장되어 오프라인에서도 실행됩니다.
Q3. PC용 DLSS와 호환되나요?
A. 구조는 동일하나, 경량화된 모델이라 직접 호환은 되지 않습니다.
Q4. 닌텐도가 DLSS를 채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고성능 칩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닌텐도는 AI를 통해 ‘작은 칩으로 큰 화면을 만든다’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결론
닌텐도 스위치 2의 듀얼 DLSS 구조는 모바일 GPU의 한계를 AI로 보완하는 혁신적 접근입니다. RTX 그래픽 카드 수준의 기술을 저전력 환경에 맞춰 구현함으로써, 콘솔과 PC의 기술 경계가 점차 흐려지고 있습니다. 향후 콘솔 세대는 하드웨어 성능 경쟁보다 AI 그래픽 품질 경쟁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큽니다.
3분 정리
- 스위치 2는 표준 DLSS + DLSS Light를 병행 지원.
- RTX GPU의 CNN 모델을 모바일 SoC에 최적화 적용.
- 예상 성능은 RTX 2050~2060급, 전력 효율은 30% 개선.
- PS5·Xbox보다 낮은 연산력에도 AI 업스케일링으로 품질 보완.
- 닌텐도는 저전력 AI 렌더링으로 차세대 콘솔 시장을 선도 중.
출처
- Tom’s Hardware — Nintendo Switch 2 supports two different types of Nvidia DLSS (확인일 2025-10-07)
- Nvidia Developer Blog — DLSS and AI Rendering Overview (확인일 2025-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