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텔, XeSS MFG 프레임 생성 기술로 엔비디아·AMD에 도전장

by 땡글오빠 2025. 9. 25.

게임 그래픽 기술은 매 세대마다 진화를 거듭합니다. 최근 가장 큰 화두는 프레임 생성(Frame Generation) 입니다.

엔비디아가 DLSS 4를 통해 멀티 프레임 생성(Multi-Frame Generation, MFG) 기능을 본격적으로 도입했고, AMD 역시 FSR 4를 내놓으며 업스케일링과 프레임 생성 경쟁에 참여했습니다. 여기에 인텔도 ‘XeSS MFG’ 라는 이름이 Arc GPU 드라이버에서 발견되며 본격적인 3파전 구도가 예고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DLSS 4·FSR 4와의 비교, 인텔-엔비디아 협력 이슈, 그리고 XeSS MFG가 Arc 독립 GPU뿐 아니라 내장 그래픽까지 지원할 가능성을 짚어보겠습니다.

 

Intel Arc 그래픽 카드의 멀티프레임 생성 기술 XeSS MFG
Intel Arc 그래픽 카드의 멀티프레임 생성 기술 XeSS MFG


생활·업무 변화 요약

일상적 변화
게이머는 더 이상 특정 제조사의 그래픽카드를 써야만 최신 프레임 생성 기술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인텔이 본격 가세하면 보급형 GPU 사용자도 더 부드러운 화면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업무적 변화
게임 개발사와 콘텐츠 제작자는 엔진 최적화 과정에서 엔비디아, AMD뿐 아니라 인텔의 프레임 생성 API 지원 여부까지 고려해야 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쉽게 알아보는 IT 용어

프레임 생성(Frame Generation)
실제 렌더링된 프레임 사이에 AI 혹은 알고리즘이 생성한 가상 프레임을 삽입해 FPS를 끌어올리는 기술입니다. 마치 애니메이터가 두 컷 사이에 중간 장면을 덧그려 넣어 움직임을 매끄럽게 만드는 것과 비슷합니다.

 

멀티 프레임 생성(Multi-Frame Generation)
단일 보간 프레임이 아닌, 2개 이상 중간 프레임을 한 번에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고속도로 차선을 추가로 만들어 차량 흐름을 한층 원활하게 하는 것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

1. 엔비디아 DLSS 4 - 멀티 프레임 생성 공식화

  • 최신 DLSS 4는 AI 기반 업스케일링 + 멀티 프레임 생성을 결합.
  • 최대 3개의 보간 프레임을 생성 가능, 성능 향상 폭이 크다는 점이 강점.
  • RTX 40 시리즈 이상에서 본격 적용, 텐서 코어 등 전용 하드웨어 활용.
  • 단점: 멀티 프레임 생성이 많을수록 입력 지연과 아티팩트(잔상) 리스크가 증가.

2. AMD FSR 4 - 범용성, 그러나 멀티 프레임은 제한적

  • FSR 4는 업스케일링 품질 개선과 함께 프레임 생성 기능을 제공합니다.
  • 다만 현 단계에서는 멀티 프레임 생성까지 공식 지원한다는 근거는 부족하며, 단일 프레임 보간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장점: 벤더 독립적 설계, 다양한 GPU에서 작동 가능.
  • 단점: 엔비디아 DLSS 대비 화질·시간적 안정성은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

3. 인텔 XeSS MFG - 후발주자의 도전

  • Arc 드라이버 코드에서 “XeSS MFG” 명칭과 로고 발견.
  • 기존 XeSS(업스케일링) 기술을 확장해 멀티 프레임 생성 기능으로 진화할 가능성.
  • XeSS SDK 2.1은 타사 GPU에서도 프레임 생성 활용 가능하게 설계되어, 범용성 측면에서 AMD 접근과 유사한 방향.
  • 다만 실제 구현·품질·지연 최적화 여부는 아직 검증되지 않음.

4. 인텔-엔비디아 협력, 프레임 생성과의 관계는?

  • 최근 양사의 협력은 데이터센터·AI 영역 중심으로 논의됨.
  • 인텔은 Arc GPU 사업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하겠다고 공식 발표.
  • 따라서 XeSS MFG와 엔비디아 협력이 직접 연결될 가능성은 낮음.

5. Arc GPU 전용인가, 내장 GPU도 지원할까?

  • 현재까지 발견된 코드는 Arc GPU 드라이버 기반.
  • XeSS SDK는 범용 지원을 지향하지만, 내장 GPU는 성능·대역폭 제약이 커 멀티 프레임 생성 적용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큼.
  • 현실적으로는 Arc 독립 GPU → 이후 일부 고성능 iGPU 확장 순으로 적용될 전망.

6. 게이머에게의 의미

  • 선택권 확대: DLSS 4 독점 구도에 균열, AMD·인텔도 대안 제시.
  • 보급형 GPU 기회: 저가형 카드에서도 프레임 체감 향상이 가능하다면 게이머 저변 확대.
  • 지원 타이틀 중요: 기술 존재만으로는 부족, 실제 게임 엔진과 제작사 협력이 핵심.

Mini Q&A

Q1. 인텔 XeSS MFG는 언제 상용화될까요?
→ 드라이버 코드 흔적 단계지만, SDK 로드맵과 업계 흐름을 고려하면 출시 가능성이 높습니다.

Q2. DLSS 4와 직접 경쟁할 수 있나요?
→ 초기에는 품질·지연 관리에서 엔비디아에 못 미칠 가능성이 크지만, 보급형 시장을 겨냥한다면 의미가 있습니다.

Q3. FSR 4와 차이는 무엇인가요?
→ FSR 4는 단일 프레임 보간 중심, XeSS MFG는 멀티 프레임 생성으로 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가 예상됩니다.

Q4. 내장 그래픽(iGPU)에서도 가능할까요?
→ 성능 제약이 크지만, 장기적으로는 일부 고성능 iGPU까지 확장될 여지는 있습니다.


결론

DLSS 4가 멀티 프레임 생성 시대를 열었고, AMD FSR 4가 범용성을 무기로 뒤따르고 있습니다. 이제 인텔 XeSS MFG가 모습을 드러내며 GPU 프레임 생성 경쟁은 3파전으로 전환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Arc GPU 중심의 실험이 예상되지만, 장기적으로는 iGPU까지 확대되며 보급형 시장을 흔들 잠재력이 있습니다.


3분 정리

  • DLSS 4: AI 기반 멀티 프레임 생성, 최대 3개 보간 프레임 생성 가능.
  • FSR 4: 프레임 생성 제공, 멀티 프레임은 제한적.
  • XeSS MFG: Arc 드라이버에서 발견, 멀티 프레임 생성 도입 가능성.
  • 엔비디아 협력: 데이터센터 중심, 프레임 생성과 직접 연관은 없음.
  • 지원 범위: 초기엔 Arc GPU, 이후 일부 내장 GPU 확장 가능성.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