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19 Pro와 차세대 AP, 싱글·멀티 판도 재정렬

by 땡글오빠 2025. 9. 15.

아이폰 17 프로의 A19 Pro가 공개되며 모바일 CPU 판도가 다시 요동치고 있습니다.

 

공개 수치상 A19 Pro는 싱글 스레드에서 3,895점으로 동급 최고를 경신했고, 멀티 스레드는 9,746점으로 상위권이지만 코어 수가 많은 경쟁 AP들이 빠르게 추격합니다. 한편 **엑시노스 2500(현재 세대)**는 기기별 편차가 크지만, 초반 측정치에선 안드로이드 최상위 대비 낮은 편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엑시노스 2600(예상), **스냅드래곤 8 Elite Gen 5(예상)**의 유출값이 연이어 포착되며 내년 구도는 ‘싱글=애플 우세, 멀티=다자 경쟁’의 그림이 선명해지고 있습니다.

 

  • A19 Pro(아이폰 17 프로): 싱글 3,895 / 멀티 9,746. 전작 대비 약 11~12% 향상, 싱글 리더십 재확인. TSMC N3P 공정, 프론트엔드·분기예측 개선, 4.26GHz 부스트가 배경입니다. 
  • 스냅드래곤 8 Elite(현 세대): 기기별 편차가 있으나 싱글 ~3,0xx / 멀티 ~9,8xx 사례가 확인됩니다. 
  • 디멘시티 9400(현 세대): 싱글 ~2,9k / 멀티 ~8,8~9,1k 수준(9400+는 소폭 상향). 
  • 엑시노스 2500(현 세대): 초기 측정치 싱글 ~2,0~2,3k / 멀티 ~7,5~8,1k로 보고(기기/클럭 영향 큼). 
  • 엑시노스 2600(예상): 싱글 3,309 / 멀티 11,256. **8 Elite Gen 5(예상)**는 싱글 3,393 / 멀티 11,515 수준 보고. (양산 시 변동 가능) 

A19Pro의 싱글 멀티점수 애플의 노림수는?
A19Pro의 싱글 멀티점수 애플의 노림수는?


생활·업무 변화 요약

  • 웹·SNS·문서 등 싱글 의존 워크로드는 iOS의 즉응성 이점이 유지됩니다. 반대로 렌더·압축·배치 추론처럼 코어 스케일링이 먹히는 작업은 안드로이드 상위 AP가 근접·우세를 오가게 됩니다.
  • 온디바이스 AI 확산으로 NPU·GPU와 CPU 멀티 처리의 조합 설계가 중요해지고, 전력·열 설계(TDP budget) 관리가 체감 품질을 좌우합니다. 
  • 아이폰 17 프로의 베이퍼 체임버 채용은 장시간 성능 하락(스로틀) 억제에 기여, 게이밍·영상 편집·AI 추론의 지속 성능을 개선합니다. 

 

쉽게 알아보는 IT 용어

  • 싱글 스레드 성능: 단일 코어 처리 성능. UI 반응, 웹 렌더링, 스크립트 실행 등에 직접적.
  • 멀티 스레드 성능: 병렬 처리량. 렌더링·압축·대량 변환·배치 추론 등에서 중요.
  • 버스트 / 서스테인드: 순간/지속 성능. 냉각·전력 정책, 섀시 구조가 좌우.
  • N3P: TSMC 3nm 계열 개선 노드. 같은 전력에서 성능↑ 또는 같은 성능에서 전력↓가 가능.

 

핵심 포인트

현재 출시된 AP와의 벤치마크 비교

  • A19 Pro: 3,895 / 9,746 — 싱글 최상위, 멀티 상위권. 
  • Snapdragon 8 Elite: ~3,031 / ~9,829(S25 Ultra 사례). 
  • Dimensity 9400(또는 9400+): ~2,904 / ~8,812(+는 2,945 / 9,184). 
  • Exynos 2500: ~2,012 / ~7,563(Z Flip 7), 다른 측정 ~2,300 / ~8,070도 존재. (기기/열설계/클럭 차) 

출시 예정 AP(예상)와의 벤치마크 비교

  • Exynos 2600(2nm): 3,309 / 11,256 리크. 멀티에서 11k대를 넘기며 ‘멀티 강세’ 시나리오. 
  • Snapdragon 8 Elite Gen 5(N3P): 3,393 / 11,515 리크. 주파수 상향과 효율 개선이 관측. 

A19 Pro: 싱글 코어 성능 강화의 의미 - 애플의 전략과 고민

  • 전략: 적은 코어(2P+4E)로 최고의 IPC와 고클럭, 넓어진 프론트엔드·캐시로 지연 억제에 집중 → 앱 반응성·웹·일상 UX를 선도. 
  • 지속성 카드: 베이퍼 체임버로 서스테인드 성능을 방어, 멀티 낮은 코어수의 약점을 열관리·전력 효율로 메움. 
  • 고민: (1) 멀티 스케일링의 상한—코어 수가 적어 절대 처리량 확대가 제한적. (2) 열밀도·배터리—싱글 왕좌 유지엔 고클럭/전압 관리가 관건. (3) AI 워크로드 분담—NPU·GPU로 이관되는 연산이 늘수록 CPU 멀티 우위의 의미가 바뀜. 

안드로이드 진영: 멀티 코어 성능으로 맞서다

  • 전략: 빅/미들/리틀 다코어 구성과 높은 부스트 클럭, 스케줄러 튜닝으로 멀티 점수 극대화. 8 Elite와 **Exynos 2600(예상)**은 9.8k~11k대로 A19 Pro를 압박. 
  • 과제: 기기별 쿨링·전력 정책 편차 → 같은 AP라도 점수·체감이 크게 달라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음. T

엑시노스 2500 추가 분석(현 세대)

  • 초반 측정은 싱글 2.0~2.3k / 멀티 7.5~8.1k로 보고. 플립/슬림 섀시의 열제약, 클럭·캐시 구성, 초기 펌웨어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 
  • 의미: 삼성은 2600에서 대폭 개선. 2500의 경험은 쿨링·전력·스케줄링 삼박자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게 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큽니다. 

점수가 전부는 아니다 - ‘체감’ 체크리스트

  • 10~20분 지속 성능 곡선(스로틀)
  • OS·컴파일러 최적화(iOS vs Android)
  • 앱 특성(싱글 지배 vs 병렬 지배)
  • NPU/ISP/GPU 협업 비중(온디바이스 AI 파이프라인)
  • TCO(배터리·발열·소음·수명) 관점 의사결정

 

CPU 성능 표 - Geekbench 6 (정식 출시 AP)

기기 / AP 싱글코어 멀티코어 출처
iPhone 17 Pro / A19 Pro 3,895 9,746 Tom’s Hardware 요약(Geekbench 6) 
Galaxy S25 Ultra / Snapdragon 8 Elite 2,862 9,480 Geekbench Browser(모델: SM-S938N) 
OPPO Find X8 Pro / Dimensity 9400 2,647 8,048 Geekbench Browser(기기 페이지) 
Galaxy Z Flip 7 / Exynos 2500 2,093 7,498 Notebookcheck(실기기 측정) 

주: 동일 AP라도 기기/펌웨어/쿨링에 따라 점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표에는 명시된 기기의 대표 측정치를 기재했습니다.


3D 성능 표 - 3DMark Wild Life Extreme (Android, 온스크린)

기기 / AP 점수 Graphics Test 1 (FPS) 비고/출처
OPPO Find X8 Pro / Dimensity 9400 6,418 ≈38 FPS UL Benchmarks(기기 페이지) 
Galaxy S25 Ultra / Snapdragon 8 Elite 5,888 ≈35 FPS UL Benchmarks(기기 페이지) 

주: iPhone 17 Pro의 WLE 결과는 UL 공개 페이지 기준 확인 가능 데이터가 아직 부족하여 본 표에서 제외했습니다. 3DMark는 iOS/Android 교차 비교 가능 벤치지만(iOS는 Metal), 공식 점수 확보 후 추가 반영이 정확합니다.


3D 성능 표 - 3DMark Wild Life Extreme Unlimited (오프스크린)

기기 / AP 점수 Graphics Test 1 (FPS) 비고/출처
Xclipse 950(GPU) / Exynos 2500 5,151 Notebookcheck(GPU 페이지) 
Galaxy S25 Ultra / Snapdragon 8 Elite 6,954 ≈41 FPS UL Benchmarks(기기 페이지) 

Unlimited는 해상도/주사율 영향 제거(오프스크린) 테스트입니다. 기기간 GPU 순수 성능 비교에 유용합니다.

 


(참고) GPU 성능 - Geekbench 6 Metal(iOS)

기기 / AP Metal 점수 출처
iPhone 17 Pro / A19 Pro 45,657 Tom’s Hardware 요약(Geekbench 6 Metal)

출시 예정 AP (※ 유출 기반 예상 값)

AP(예상) 싱글코어 멀티코어 출처
Exynos 2600 3,309 11,256 Wccftech/Notebookcheck 리크 정리
Snapdragon 8 Elite Gen 5 (일명 Elite 2) 3,393 11,515 HotHardware/Notebookcheck 등 리크

예상치는 개발보드/프리프로덕션 환경으로 양산 시 변동 가능합니다. 출시 후 동일 조건으로 재측정해야 최종 비교가 가능합니다.

 

Mini Q&A

  1. 싱글·멀티 중 무엇이 더 중요한가요?
    반응성/일상 UX는 싱글, 배치·크리에이티브·멀티태스킹은 멀티의 영향이 큽니다.
  2. 엑시노스 2500은 왜 낮게 나왔나요?
    → 얇은 섀시, 클럭·캐시·전력 정책, 초기 펌웨어 요인이 겹쳤다는 해석이 우세합니다. 차기 2600 유출값은 상반된 방향입니다. 
  3. A19 Pro의 다음 과제는?
    소수 정예 코어의 멀티 스케일링 한계열밀도 관리, 그리고 NPU·GPU 중심 워크로드 전환 속 CPU 역할 재정의입니다. 
  4. 예상 수치 신뢰도는?
    → 개발보드·프리프로덕션 기반으로 양산 펌웨어·클럭에서 변동됩니다. 출시 후 재검증이 필요합니다.
  5. 실사용 선택 기준은?
    → 앱 성격(싱글/멀티), 서스테인드 설계, 배터리 지속시간, 온디바이스 AI 활용도를 같이 보시기 바랍니다.

결론

A19 Pro는 싱글 왕좌를 굳히며 iOS 일상 UX를 견인합니다. 다만 멀티에선 다코어 전략의 안드로이드 상위 AP가 맞붙는 구도입니다. 선택은 작업 특성과 지속 성능·전력 효율, 온디바이스 AI 활용도를 함께 보며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3분 정리

  • A19 Pro 3,895/9,746: 싱글 독주, 멀티 상위권. 
  • 8 Elite ~3,0xx/9,8xx, Dimensity 9400 ~2,9k/~8,8~9,1k: 멀티서 A19 Pro 추격. 
  • Exynos 2500 ~2.0~2.3k/~7.5~8.1k: 기기·열설계 영향, 2600은 11k대. 
  • 8 Elite Gen 5(예상) 3,393/11,515, Exynos 2600(예상) 3,309/11,256: 멀티 11k대 경쟁. 
  • 체감은 서스테인드·전력·쿨링이 좌우, 온디바이스 AI 시대엔 CPU+NPU/GPU 조합이 관건.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