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OCuLink vs 썬더볼트 5 - 외장 GPU의 미래를 가르는 기술 경쟁

by 땡글오빠 2025. 10. 7.

최근 공개된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OCuLink 포트가 썬더볼트 5(Thunderbolt 5) 대비 평균 14% 빠른 그래픽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NVIDIA RTX 5070 Ti eGPU 기준으로 확인된 이 차이는 단순한 포트 규격의 경쟁을 넘어, 모바일·데스크톱 경계가 허물어지는 흐름을 상징합니다.

그렇다면, 왜 일부 사용자는 여전히 “직접 PCIe 슬롯에 꽂는 것이 낫다”고 주장하고, 또 어떤 이유로 OCuLink가 그 대안으로 떠올랐을까요?

 

인터페이스간 성능비교
인터페이스간 성능비교


생활·업무 변화 요약

  • 게이밍: 썬더볼트 5보다 지연이 적고, 4K 고주사율 환경에서 프레임 드랍이 거의 없습니다.
  • 영상·AI 작업: GPU 메모리 전송이 잦은 딥러닝 환경에서, PCIe 직결 대비 약간의 성능 손실만으로 외장화가 가능합니다.
  • 업무·휴대성: 무거운 워크스테이션 대신 소형 미니 PC + eGPU 도킹 조합으로 데스크톱급 성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쉽게 알아보는 IT 용어

OCuLink (Optical Copper Link)
PCI Express(PCIe) 신호를 외부로 직접 전송하는 케이블 규격입니다.
쉽게 말해, **“그래픽카드 슬롯을 밖으로 빼낸 것”**으로, PCIe x4(4Lane) 대역폭을 그대로 외부 장치로 전달합니다.

Thunderbolt 5 (TB5)
USB4 기반 인터페이스로, 최대 120Gbps(단방향 가속 시) 속도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PCIe 4.0 x4 신호를 USB 프로토콜로 감싸는 구조라, 변환 단계에서 병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

[1] OCuLink vs Thunderbolt 5 vs PCIe 직접 연결 — 성능 비교

연결 방식 평균 FPS  (RTX 5070 Ti, 1440p)PCIe 대비 성능 특징
PCIe x16 직결 128fps 100% 데스크톱 기본 연결
OCuLink (PCIe x4 외부) 122fps 95~96% 수준 지연 거의 없음
Thunderbolt 5 eGPU 105fps 82~85% 수준 변환 병목 발생

요약:
OCuLink는 직접 PCIe 연결 대비 약 4~5% 성능 저하에 불과하지만,
Thunderbolt 5는 변환 프로세스와 컨트롤러 병목으로 약 15~18% 저하가 나타납니다.
이는 게이밍이나 AI 연산처럼 GPU 데이터 왕복이 빈번한 작업에서 체감 차이가 확연합니다.


[2] 그렇다면, 왜 OCuLink를 사용하는가?

OCuLink는 “썬더볼트보다 느린” 기술이 아니라, 보다 ‘순수한’ PCIe 연장선입니다.
사용자들이 OCuLink를 선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성능 손실 최소화: eGPU 사용 시, 내부 슬롯과 거의 동일한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 비용 효율성: 전용 컨트롤러나 인증 비용이 없어, TB5 도킹보다 약 30~40% 저렴합니다.
  • 안정성: 별도 변환 프로세스가 없어 발열·지연·드라이버 충돌이 적습니다.
  • 커뮤니티 친화성: 데스크톱·미니 PC 사용자 중심으로 오픈 표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비유하면, 썬더볼트가 “다목적 고속 도로”라면, OCuLink는 GPU만을 위한 전용 고속선로에 가깝습니다.


[3] OCuLink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UMPC 및 미니 PC

특징 브랜드 모델 특징
GPD GPD Win Max 2 2024 OCuLink 포트 기본 탑재, RTX 4070 eGPU 연결 검증됨
AYANEO AYANEO Kun AMD 7840U 기반, eGPU 연결 시 데스크톱급 성능
MINISFORUM UM790 Pro / MS-01 PCIe 4.0 기반 OCuLink 헤더 내장, eGPU 및 SSD 확장 가능
OneXPlayer X1 iGPU / 2025 모델 OCuLink + TB4 이중 인터페이스 지원
TULPAR / GMKTec NucBox K8 저가형 미니 PC 중 드물게 OCuLink 탑재

이들 제품은 모두 “소형 폼팩터에서도 GPU 확장 가능”을 강조하고 있으며,
고정식 도킹 스테이션 없이 외장 그래픽만으로도 3D 작업이 가능한 구조를 지향합니다.


[4] Thunderbolt 5의 잠재력

Thunderbolt 5는 단점(변환 병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확장성과 호환성 면에서는 여전히 강력한 플랫폼입니다.

  • 다기능 통합: 디스플레이, 저장장치, 전원공급, 데이터 전송을 단일 포트로 처리
  • 대역폭 부스트: 한쪽 방향 전송 시 120Gbps까지 가속 — 8K 모니터 + eGPU 동시 사용 가능
  • 전력 전달: 최대 240W USB-PD 3.1 지원으로, 외장 그래픽 박스에도 안정적 전력 공급
  • 생태계 확장: 애플·델·레노버 등 주요 제조사들이 이미 TB5 인증 라인업을 준비 중

결국 TB5는 범용성의 승부수, OCuLink는 순수 성능의 선택지로 구분됩니다.
둘 중 어느 쪽이 표준으로 자리 잡을지는, 향후 AI·3D·게이밍 시장의 중심축이 어디로 이동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Mini Q&A

Q1. PCIe에 직접 꽂는 것보다 OCuLink가 느린 이유는?
→ 물리적으로 x4 Lane만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PCIe x16(데스크톱) 대비 데이터 경로가 1/4 수준이라 약간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Q2. 썬더볼트 5가 발전하면 OCuLink를 대체할까요?
→ 가능성은 낮습니다. TB5는 멀티디바이스 중심, OCuLink는 고성능 전용 채널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Q3. UMPC에서 OCuLink의 가장 큰 장점은?
→ 휴대성과 성능의 균형입니다. 게임용으로는 물론, AI 학습·CAD·그래픽 렌더링에도 활용됩니다.


“OCuLink는 eGPU의 ‘직결 시대’를 열었고, 썬더볼트 5는 그 ‘통합 시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결론

OCuLink는 이제 단순한 ‘대체 포트’가 아니라, 데스크톱 수준의 그래픽 성능을 휴대기기로 확장하는 핵심 연결 규격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썬더볼트 5는 여전히 호환성과 멀티 기능성에서 앞서지만, ‘순수한 데이터 효율’ 면에서는 OCuLink가 현실적인 해답을 제공합니다.
향후 고성능 UMPC·미니 PC 시장의 표준 규격이 어떻게 분화될지, 그 귀추가 주목됩니다.


3분 정리

  • OCuLink는 PCIe 직접 연결 대비 약 4~5% 성능 저하, TB5 대비 최대 14% 빠름
  • OCuLink는 단순·저비용·고효율 구조로 eGPU 연결 시 병목 최소화
  • GPD·AYANEO·MINISFORUM 등 최신 미니 PC가 OCuLink 지원 확대 중
  • Thunderbolt 5는 전원·디스플레이·데이터 통합 잠재력이 높음
  • “OCuLink = 성능 중심”, “TB5 = 범용성 중심”으로 시장이 양분될 전망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