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의 최신 업스케일링 기술 **FSR 4(FidelityFX Super Resolution 4)**가 커뮤니티 모딩을 통해 RDNA2 기반 그래픽카드에서도 구동되는 사례가 속속 보고되고 있습니다.
원래는 RDNA3 이상 제품군에 최적화된 기술이었지만, 소스코드 유출을 기반으로 한 모딩 시도가 성공하며 구세대 하드웨어에서도 ‘차세대 화질’을 경험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다만 평균 10% 내외의 성능 손실이 발생하는 만큼, 화질과 퍼포먼스 사이에서의 선택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기능 확장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 커뮤니티가 기존 하드웨어 수명을 늘리고 신기술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보여주며 그래픽 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생활·업무 변화 요약
• 게이머는 최신 GPU가 없어도 RDNA2 카드로 개선된 화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영상·스트리밍 제작자는 화질 우선 옵션을 활용해 더 높은 시각적 품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내장 그래픽 사용자에게는 적용 여부가 불투명해 추가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 기업·연구기관은 GPU 교체 주기를 늦추며 비용 효율적 운영 전략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 경쟁사 엔비디아의 DLSS와 비교해, 기술 성격과 적용 범위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쉽게 알아보는 IT 용어
• FSR(FidelityFX Super Resolution): AMD가 개발한 업스케일링 기술로, 낮은 해상도 이미지를 보정해 고해상도처럼 보이게 합니다. 비교적 개방형 구조로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DLSS(Deep Learning Super Sampling): 엔비디아가 개발한 업스케일링 기술로, AI 학습 데이터를 활용해 실제 고해상도에 근접한 결과를 구현합니다. 전용 텐서 코어가 필요해 RTX 시리즈에서만 지원됩니다.
핵심 포인트
1. FSR 4의 RDNA2 적용
원래 RDNA3 이후 GPU를 중심으로 설계된 FSR 4는 모딩을 통해 RDNA2에서도 작동 가능해졌습니다. 커뮤니티의 집단 지성이 만들어낸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2. RDNA2 그래픽카드 목록
이번 모딩이 보고된 RDNA2 GPU는 다음과 같습니다.
- Radeon RX 6000 시리즈 (RX 6900 XT, RX 6800 XT, RX 6800, RX 6700 XT, RX 6700, RX 6600 XT, RX 6600, RX 6500 XT, RX 6400)
- 일부 모바일 GPU (RX 6800M, RX 6700M, RX 6600M)
즉, 2020년 말 출시된 RDNA2 기반 그래픽카드 전반에서 테스트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3. 내장 그래픽 적용 가능성
AMD의 RDNA2 아키텍처는 일부 라이젠 6000 시리즈 APU에도 적용됐습니다. 이론적으로 FSR 4 모딩을 통해 내장 GPU(Vega 대비 성능 향상된 RDNA2 iGPU)에서도 구동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실제 적용 사례는 적고, 성능 여유가 제한적이어서 체감 효과는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4. 화질과 성능의 균형
FSR 4는 이미지 선명도를 높이지만, 평균 10% 정도 성능 하락이 뒤따릅니다. 특히 프레임 확보가 중요한 e스포츠 게임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으나, 1440p·4K 환경에서 화질 개선은 상당히 뚜렷합니다.
5. FSR 4 vs DLSS 비교
- 기술 기반: FSR은 오픈소스 기반의 알고리즘, DLSS는 AI 학습 데이터와 전용 하드웨어(Tensor Cores) 활용.
- 호환성: FSR은 AMD·엔비디아 GPU 모두에서 활용 가능, DLSS는 RTX 전용.
- 화질 결과: DLSS가 고해상도 추론 품질에서 앞서는 평가가 많지만, 최신 FSR 4는 격차를 상당히 줄였다는 분석.
- 성능 손실: DLSS는 성능 향상 효과가 강점, FSR 4 모딩은 화질 개선 중심이지만 성능 손실이 수반됨.
결론적으로, FSR은 “누구나 접근 가능한 개방형”, DLSS는 “전용 하드웨어 최적화형”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6. 커뮤니티 주도의 혁신
공식 지원이 아닌 사용자 주도 모딩으로 RDNA2에서 구동된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GPU 업계가 사용자 커뮤니티의 피드백과 실험적 시도를 무시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7. 향후 전망
AMD가 공식 지원을 추가할지는 미지수이지만, RDNA2 사용자가 많다는 점에서 요구는 점점 커질 수 있습니다. 만약 지원이 이뤄진다면, 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 주기가 크게 늦춰질 수 있습니다.
Check Point
• RDNA2 GPU에서의 성능 손실이 화질 개선을 정당화할 수 있을까?
• 내장 그래픽(iGPU) 사용자에게 실질적 이점이 있을까?
• AMD는 소스코드 유출 이후 모딩 문화 확산을 어떻게 다룰까?
• DLSS와의 기술 격차가 더 줄어들 경우, 업스케일링 시장 판도는 어떻게 변할까?
“FSR 4의 RDNA2 모딩은 단순한 하드웨어 확장이 아니라, GPU 세대 교체를 늦추려는 사용자 집단의 요구와 창의성을 보여줍니다.”
결론
RDNA2 그래픽카드에서의 FSR 4 모딩 성공은 게이머와 크리에이터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최신 기술이 구세대 하드웨어에서 활용되며 화질 경쟁력을 높였지만, 성능 손실이라는 대가는 감수해야 합니다. 엔비디아 DLSS와의 비교 속에서 AMD FSR은 여전히 개방성과 호환성이라는 강점을 갖고 있으며, 내장 그래픽까지 확장될 경우 활용 가능성은 더욱 넓어질 수 있습니다. 결국 이번 사례는 그래픽 업계의 패권 경쟁뿐 아니라, 사용자 커뮤니티의 창의성이 시장을 움직이는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잘 보여줍니다.
3분 정리
• FSR 4, 모딩으로 RDNA2 GPU 구동 성공
• Radeon RX 6000 시리즈 전반에서 적용 사례 확인
• 내장 그래픽(iGPU)에서도 적용 가능성 있으나 성능 제한적
• 화질은 개선되지만 성능은 10% 내외 하락
• DLSS와 비교 시 FSR은 개방성, DLSS는 품질·성능에서 우위
• AMD의 공식 대응 여부가 향후 관전 포인트
출처
• [Tom’s Hardware] FSR 4 modded to run on RDNA 2 GPUs (2025-09-22 확인)
• AMD Radeon RX 6000 시리즈 제품 자료 (2025-09-22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