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의 파운드리 기업 TSMC가 2나노미터(2nm) 공정 양산에 본격 착수하며, 첫 고객으로 애플·AMD·엔비디아·미디어텍이 확정됐습니다. 이는 TSMC가 3nm 공정에서의 성공에 이어, 차세대 노드에서도 글로벌 핵심 고객을 선점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본격적인 양산은 2025년 9월로 예정돼 있습니다.
다만, 업계의 시선은 단순히 '누가 먼저 쓰느냐'를 넘어, 인텔의 부재와 삼성전자의 기회에 더욱 집중되고 있습니다.
생활과 업무에 미칠 변화
일상
2nm 칩이 탑재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은 더 적은 전력 소비와 향상된 연산 성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배터리 지속 시간은 길어지고, AI 연산이나 그래픽 처리 속도도 빨라지게 됩니다.
업무
기업의 데이터센터나 클라우드 인프라는 전력 효율이 향상된 칩을 통해 운영비를 절감하고, 고성능 컴퓨팅(HPC)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됩니다.
정책·산업
2nm 경쟁은 단순한 기술을 넘어, 미국·대만·한국의 국가 전략과 직결되는 이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안정성, 파운드리 경쟁력, 고객 다변화는 각국 반도체 정책의 핵심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IT 용어 간단 설명
나노미터(nm) 공정
반도체 칩 내부 트랜지스터 게이트의 길이를 뜻하는 단위입니다. 숫자가 작을수록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집적할 수 있어, 성능과 전력 효율이 향상됩니다.
(비유하자면, 같은 종이에 더 작은 글씨로 더 많은 단어를 쓰는 것과 유사합니다.)
파운드리(Foundry)
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팹리스, Fabless)가 만든 회로도를 바탕으로 칩을 실제 생산하는 제조업체를 뜻합니다. 대표적인 파운드리 기업으로는 TSMC, 삼성전자가 있으며, 인텔은 설계와 제조를 모두 수행하는 IDM(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모델에서 최근 파운드리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 정리
[1] TSMC 2nm 공정의 첫 고객
- 애플: 아이폰 및 맥북용 차세대 A/B 시리즈 칩 생산 예정
- AMD: CPU, GPU, AI 가속기 전반에 적용 계획
- 엔비디아: 차세대 AI GPU 및 HPC 전용 칩에 활용
- 미디어텍: 모바일 AP 시장에서 퀄컴과의 경쟁력 확보 목적
[2] 인텔의 부재 이유
인텔은 **자체 공정 로드맵(20A, 18A)**에 따라 TSMC의 2nm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독립적인 생산 전략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술 주도권과 전략적 자율성을 지키기 위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다만, 인텔의 일부 저전력 제품은 TSMC의 3nm 공정을 활용 중이며, 향후 상황에 따라 혼합 전략도 가능성은 열려 있습니다.
[3] 삼성전자가 노릴 수 있는 잠재 고객
- 퀄컴: 갤럭시 시리즈와의 협업 경험을 기반으로 추가 수주 가능성
- 테슬라 등 차량용 칩 업체: 고성능·저전력이 필요한 자동차용 HPC·AI 칩 시장
- 구글·아마존·MS 등 빅테크: 자체 AI 가속기 개발과 클라우드용 칩 수요 증가
[4] 2nm 양산 시점과 기술적 의미
TSMC는 2025년 9월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초반에는 대만 신주와 타이중 공장에서 생산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기술적으로는 기존 3nm 공정 대비 전력 효율이 20~30% 향상, 동일 성능에서 전력 소모는 30~4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AI, 모바일, 데이터센터 전반에서 에너지 효율 중심의 경쟁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5] 글로벌 경쟁 구도 변화
- TSMC: 대형 고객 확보로 안정적인 2nm 시장 주도
- 삼성전자: 새로운 고객 확보 여부가 핵심
- 인텔: 자체 공정의 완성도와 수율에 따라 시장 입지가 달라질 전망
Mini Q&A
Q1. 왜 인텔은 TSMC 2nm을 사용하지 않나요?
→ 인텔은 독립적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경쟁사에 핵심 기술을 맡기기보다는, 자체 18A 공정을 통해 기술 자립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Q2. 삼성전자의 2nm 고객 후보는 누구인가요?
→ 퀄컴, 테슬라 등 차량용 칩 업체, 구글·아마존 같은 빅테크 기업들이 주요 후보로 꼽힙니다.
Q3. 소비자에게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 배터리 수명이 더 길어지고, AI 성능이 향상되며, 더 작고 얇은 기기 설계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Q4. 2nm 시대의 핵심 키워드는 무엇인가요?
→ ‘전력 효율’과 ‘지속 가능한 데이터센터’가 핵심이 될 것입니다.
Q5. 한국 산업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 삼성전자가 주요 고객 확보에 성공한다면, TSMC 중심의 시장 구도에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마무리
TSMC는 2nm 공정 양산을 앞두고 애플, AMD, 엔비디아, 미디어텍이라는 강력한 고객군을 확보하며 경쟁 우위를 강화했습니다. 인텔은 독자적인 노선을 택했고, 삼성전자는 전략적 수주 기회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2025년 9월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될 2nm 경쟁은 단순한 기술 대결이 아닌, 글로벌 반도체 권력 지형을 재편할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출처:
- TechPowerUp – TSMC's First 2 nm Node Customers (확인일 2025-09-17)